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日本 對美直接投資의 展開 및 評價 해외직접투자

저자 김관호 발간번호 95-0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5.12.18

원문보기(다운로드:63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1980년대 세계경제의 중요한 현상의 하나는 일본의 최대 해외투자국으로의 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은 수출을 통해 형성된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1980년대 들어 적극적으로 해외투자에 나서기 시작했으며, 특히 1980년대 중반 이후 엔고와 일본산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로 수출이 난관에 봉착하면서 미국 등 선진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생산체제로 이행해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일본기업들의 해외투자, 특히 미국 등 선진국에 대한 투자는 여러 측면에서 구미기업들의 해외투자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즉 해외투자의 오랜 경험과 역사를 갖고 있는 구미기업들과 달리 일본기업들의 해외투자는 수출을 위협하는 외적 환경에 대한 수동적 대응의 형태로 단기간에 해외생산거점을 확보하는 데는 성공하였지만, 일본의 해외투자가 갖고 있는 이러한 성격에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이 1990년대 들어 나타나기 시작했다.

확대일로를 거듭하던 일본의 해외투자는 1990년대 들어 급속한 감소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일본의 해외투자를 주도했던 대미투자의 경우 가장 가파른 하향세를 나타냈다. 이는 미국과 일본경기의 침체라는 표면적 요인이 일본의 대미투자가 갖고 있는 근본적 성격과 결합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보여진다. 대미진출 일본기업들의 상당수가 채산성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1980년대 투자붐에 이루어진 악성투자의 경험은 일본기업들로 하여금 대미투자에 보다 신중한 자세를 견지하게 하고 있다.1990년대는 일본경제의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전후 최악의 경기침체에 빠지면서 일본경제의 구조적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일본경제의 재도약의 여부는 이러한 노력이 얼마나 결실을 맺느냐에 달려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본경제의 현 측면은 일본의 해외투자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대미투자의 경우 현 단계는 일종의 리스트럭처링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대미진출 일본기업들의 현지화 노력은 이 과정의 핵심적인 내용이 되고 있다. 투자기업의 경영효율 향상을 위해, 투자마찰의 회피를 위해, 그리고 일본기업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형성을 위한 기반조성을 위해 현지화는 1990년대 들어 빠른 진행상황을 보이고 있다.일본기업들의 해외투자는 그 출발은 구미기업들에 비해 늦었지만 일본형 글로벌라이제이션이라는 모델을 구축해가면서 빠르게 진척되고 있다. 최근 해외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우리기업들에도 일본기업들의 해외투자의 경험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Japan's economy has been in recession from the early half of 1990s. This depressed situation of Japanese economy had adverse effects on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 For example,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 increased rapidly in the last half of 1980s, but it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ends of Japanese's FDI in the United States, by providing some suggestions to Korea's futur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will expl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Chapter II will give analysis on the trends, problems and strategy of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 by period. Chapter III will analyze the trends of Japanese's FDI in the United States. Chapter IV will look into the modernization of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 in 1990s from various perspectives. Finally, Chapter V will evaluate Japanese's FDI in the United States by presenting Korea's futur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서언

Ⅰ. 序論

Ⅱ. 日本의 海外直接投資
1. 日本 海外直接投資의 推移
2. 日本 海外直接投資의 展開方向

Ⅲ. 日本의 對美 直接投資
1. 對美直接投資의 推移
2. 對美進出 日本企業의 問題點
3. 日本企業의 對應戰略

Ⅳ. 對美進出 日本企業의 現地化
1. 現地化의 意義
2. 對美進出 日本企業의 現地化
3. 小決

Ⅴ. 評價 및 示唆點
1. 日本의 對美直接投資에 대한 評價
2. 示唆點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2018-12-28 연구보고서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2018-12-28 연구보고서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2017-11-21 연구보고서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정책적 시사점 2017-06-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Working paper To Whom does Outward FDI Give Jobs? 2016-09-30 연구자료 신흥국 건설시장 진출 관련 국가리스크와 대응방안 2016-09-23 연구자료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추정 2016-09-25 연구자료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2016-09-13 연구보고서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2015-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