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KIEP Newsletter

News & Event

[KIEP Webzine] 주요국 반도체 전략(중국, 일본, 미국, EU, 대만)

  • Date2021/09/06
  • Hit4,09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

 

향후 중국 경제성장의 핵심요소로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중국 내 대규모 반도체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정부는 높은 해외의존도로 인한 반도체 수지 적자 확대와 미국의 견제로 인한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안고 있습니다...

   
 
 
 

일본의 반도체전략 특징과 시사점

 

금년 6월 4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반도체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6월 18일에는 스가(菅義偉) 내각이 반도체전략을 ‘성장전략’에 담아 각의결정했습니다. 일본의 반도체 전략은 경제안전보장 관점에서 다소 방어적 요소가 강하지만, 집권 자민당이 추진 중인 경제안전보장전략의 일환이라는 점에서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4대 핵심 품목 공급망 검토 결과 및 시사점

 

본 보고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발간한 반도체·배터리·핵심 광물·의약품 등 4대 핵심 품목에 대한 공급망 검토 결과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했습니다. 반도체의 경우 아시아와 같은 특정 지역에 편중된 취약한 공급망 구조로 인해, 원료 공급 또는 제조 과정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파급효과가 증폭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기업들의 대중국 매출 비중이 높아, 미중 갈등에 따른 대중 반도체 판매 감소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EU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과 평가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의 지리적 편중으로 인해, 주요국은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공급망의 불안정성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있습니다. EU는 2030년까지 글로벌 생산에서 EU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1,45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며,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신산업정책 및 국제협력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대만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과 전망

 

글로벌 반도체 산업 간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미국, 일본, EU, 중국, 한국 등 주요국은 자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미래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코로나19 및 디지털 경제 전환에 따른 단기적 반사 이익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각국의 반도체 자주화 움직임에 따른 위협이 예상되어 이에 대응하고 산업의 비교우위 유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Contact us | 가입 | 정보수정 | 수신거부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제정책동   TEL: 044-414-1114
Copyright @20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유투브 블로그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