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Policy Analysis Implications of Global Recession and Structural Changes for Korean Economy 경제발전, 경제통합

저자 한민수, 김수빈, 이진희 발간번호 16-0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6.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60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세계경제는 글로벌 투자 및 교역이 부진한 가운데 미약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 경제는 2003년 이후 세계경제의 성장 경로로 수렴하며 저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특히 내수와 무역의 감소세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투자 증가율 둔화, 교역 감소 등과 더불어 우리 경제의 견고한 성장을 방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향후 우리 경제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적인 요인들 가운데 고령화, 소득불평등, 중국의 제 13차 5개년 계획, 브렉시트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미국·중국·일본과 같은 주변국 고령화의 심화는 우리나라의 내수 및 수출입 감소를 초래해 GDP를 감소시켰다. 또한, 우리나라 자체의 고령화의 GDP 감소효과는 주변국의 고령화보다 크게 나타났다. 소득불평등 악화 역시 고령화만큼은 아니지만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득불평등의 한국 GDP에 대한 영향력을 수요측면에서 요인분해할 경우 수출의 기여도가 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 상위 1% 계층의 점유율 확대가 투자를 유발하여, 수출에도 그 파급효과가 전달된 결과로 추정된다. 한편 중국의 제 3차 5개년 계획은 우리 경제에 대체로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기에는 순수출 등 해외수요를 통한 성장기여가 두드러졌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대외부문의 기여도는 감소하고 내수부문의 기여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브렉시트의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과 보호무역주의가 전세계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체적으로 무역자유화를 통해 보다 많은 국가가 이득을 얻을 수 있겠지만 개별 국가 차원에서 얼마나 이득을 볼 수 있을지는 각 국가들이 글로벌 가치사슬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정책 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대외부문보다 내수부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앞서 살펴본 구조적 요인들은 주로 내수부문을 전달경로로 하여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화 대책 중 하나인 출산장려책의 장단기적 효과를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 출산율 제고는 현재의 노동가능인구와 투자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반면, 미래 노동가능인구 증가를 통한 투자, 성장의 선순환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상충효과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셋째, 소득불평등의 거시경제효과 분석시 지니계수와 같은 한 가지 숫자로 전체 소득불평등을 측정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소득분포를 고려해서 심화되는 소득불평등에 대응하는 정책 도구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각 소득그룹별로 경제 성장에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보다 정교한 분석기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브렉시트와 미국 대선을 계기로 보호무역주의가 새로운 글로벌 트렌드로 부상한 시점에서 무역 자유화의 경제적 효과 분석, 관련 협상 조율 등에 있어서 우리와 상대국이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리고 향후 어떻게 변화되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기초로 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The Korean economy still faces severe headwinds from the weak growth recovery. Since Korea’s growth path has tended to converge to that of the global economy since 2003, Korea’s recent growth moderation partly reflects a still-weak global economy. Along with a weak growth in domestic consumption, Korea’s substantial export disruption might lead to a further slowdown in the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In this monograph, we suspect that there are common and structural global factors behind the convergence of Korean economy to the slow growth path of the global economy. Motivated by the recent policy-oriented works, we have analyzed the four structural, external changes of aging population, rising income inequality, the implementation of China’s 13th Five-Year Plan, and Brexit. In particular, we have quantified their effects on the Korean economy and analyzed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structural changes affect the Korean economy.
  Our first finding exhibits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private domestic demand. Both rising inequality and aging population affect Korea’s GDP primarily through the private domestic demand channel. In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of China’s 13th Five-Year Plan, the external sector is the main driver of affecting Korea’s GDP. Over time, however, the channel through which private domestic demand affects Korea’s GDP outweighs external channels such as net export. Therefore, our results in Chapter 3 show that implementing policies, of which target is the domestic variables, can be more effective.
  Second, the policy to address aging population through raising the fertility rate should take into account trade-off between current employment and investment and the number of future working aged population. Our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fertility rate has negative consequences in current employment and investment.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our intuition that if women have more children, they are less inclined to supply labor. Therefore employment would decline. At the same time, because production factors, labor and capital, are complementary, a decrease in employment would lead to investment slowdown. On the other hand, raising the fertility rate implies an increase in the future working aged population. Again due to complementarity between production factors, this can boost investment and pick up growth in the future. Therefor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o address aging should be based on the optimal growth of population and take into account trade-off between its short run and long run effects.
  Third, we need to deeply look into the whole income distribution to address rising income inequality. Our results show  that looking at one single index of inequality might be insufficient to analyze the consequences of inequality. Population within the different income groups might play a different role and the aggregate consequences might depend on the whole income distribution. For example, one of our results illustrate that the population within the top one percent income group tends to have positive consequences on employment and investment. In the absence of detailed data, however, we cannot tell what kinds of people among them would benefit domestic demand. Instead of targeting a single index for inequality, therefore, policy tools to address rising inequality should be grounded by further information on the whole income distribution.
  Finally, we devote Chapter 4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rexit. At first glance, our results do not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standard gain from trade liberalization. For example, Korea can sometimes lose from an FTA with the United Kingdom. Instead, raising trade barriers against the United Kingdom sometimes benefit Korea's growth. Our seemingly counterfactual results would aris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capital accumulation and market access versus the substitution effect. In particular, ending an FTA with a certain country might benefit our other trading partners if we import goods from them instead of the original exporter. Such substitution effect might be large enough to give us back the benefit especially if the other new trading partners are fast growing economies.
  Equally importantly, however, we do not argue that our results are against the general gain from trade liberalization. Instead, we argue that our results confirm the overall gains from trade liberalization again.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a country’s input-output linkages with other countries, moving up and down in global value chains, and whether a country and its trading partners are growing, a country could either gain or lose from an FTA with a specific country. Given that the gain from trade liberalization may not be bilateral in practice, a careful approach to quantify the effect of trade liberalization should be necessary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an FTA with a certain country.  

Preface

 
1. Introduction

2. World and Korean Economy after the Global Recession

3. Three Structural Changes
3.1. Model
3.2. Constructing Counterfactual Scenarios
3.2.1 Aging Population
3.2.2 Rising Income Inequality
3.2.3 China’s 13th Five-Year Plan
3.3. Results
3.3.1 Aging Population
3.3.2 Rising Income Inequality
3.3.3 China’s 13th Five-Year Plan

4. Brexit
4.1. Model
4.2. Constructing Counterfactual Scenarios
4.3. Results
4.4. Appendix: Additional Figures

5. Summary and Policy Implications
5.1. Summary
5.2.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86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공동체별 통상환경 및 산업 구조와 한국의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2021-12-24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전략지역심층연구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과정 평가와 한국의 협력전략 2021-05-26 연구보고서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0-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 IT 산업 발전과 한-러 협력: 러시아의 경제 구조 전환을 중심으로 2020-12-30 단행본 독일통일 30년: 경제통합의 평가와 시사점 2020-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