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동지역 정세변화에 따른 대중동 신경제협력방안 모색 경제협력, 정치경제

저자 한바란, 최필수, 윤서영, 손성현, 박재은, 전혜린, 이시욱 발간번호 12-2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91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1년 우리는 전 세계적 경기 불황과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빈곤 심화, 세계 최고수준의 인구 및 학력 증가에 따른 높은 청년 실업률, 부패와 독재 등에 기인한 전례 없는 정치 변동을 중동에서 목도했다.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예멘에서는 장기 독재정권의 교체가 이루어졌고 시리아에서는 반정부 유혈사태가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종파간 갈등과 고실업 및 정치적 억압에 반발하는 소규모 시위가 발발하였다.


 중동의 정치변동으로 인해 우리나라 역시 원유 수입과 해외건설시장 부문에서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2011년 역내 정세 불안으로 유가가 상승하자 우리나라의 대중동 무역수지가 급격하게 악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지 프로젝트 발주액이 급격히 감소해 우리 해외건설시장에서 중동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내외로 줄어들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2011년 역내 민주화 혁명 발발을 기점으로 중동지역 경제협력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기존 협력 현황과 최근 변화된 환경에 비추어 향후 협력 확대방안을 큰 틀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리비아, 이집트의 사례 연구 결과, 우리는 2012년 현재 중동 지역 전반의 경제협력 환경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현재 중동 지역은 국내 세력의 다원화로 인해 지속적 갈등이 예상되며, 둘째, 산업정책의 큰 틀은 유지되고 있으나 공공부문 지출증가 추세에 있다. 셋째, 민주화 이후에도 실업과 부패 등 불안요소가 산재하고 있고, 넷째, 중동 전반적으로 지역주의가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세력이 다원화됨에 따라 우리는 협력 채널을 다원화하고 대상국의 산업계-학계-정부-시민사회와 우리 쪽 대응 개체들 간의 연계도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신정부가 출범한 만큼, 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개발협력 등을 통해 현지의 경제발전을 돕고 향후 민간 차원의 경제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나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학연간 정보 교류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The year 2011 witnessed unprecedented political change in the Middle East. Citizens took to the streets in mass protest against deepening poverty,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corruption and longtime dictatorship. Tunisia, Egypt, Libya and Yemen underwent regime changes, while there is an ongoing full-fledged civil war in Syria.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such political changes in the Middle East will bring about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The Arab Spring seem to have shaken the deep-rooted patriarchal and Islamic authoritarianism that has long been rampant in the region. The civilians of the Middle East could too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State and demand political change. The governments in turn are actively addressing issues causing social discontent, raising wages, and increasing investments for social infrastructure in the areas of housing, road construction, education and health and medical care.
This book summarizes the changes in the Middle East since the Arab Spring from an economic cooperation point of view and draws implications for Korea. More specifically, we look at how Saudi Arabia, Egypt and Libya have fared since the Arab Spring and how their major economic partners, the US, China, Japan, and France have reacted to circumstantial change. We then examine the nature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each of the three middle eastern country,
Four prominent political and economic features seen currently in the Middle East as of 2012 are identified: contention among preexisting and newly emerging political forces, increased public spending, strengthened protections for domestic labor force and firms, high unemployment and corruption, and rising regionalism. We suggest that the Korea focuses on strengthening non-governmental linkages, reevaluate and revise trade and investment agreements with middle eastern countries, and reinforce development cooperation.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가. 국가의 선정 
나. 구성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방법론 


제2장 정치변동에 따른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협력환경 변화 
1. 정치변동 
가. 동향 
나. 주요 불안요인 
2. 경제정책의 변화 
가. 경제동향 
나. 기본 경제정책 방향 
다. 정치변동 이후 경제정책의 변화 
3. 주요국의 대응 
가. 미국 
나. 프랑스 
다. 일본 
라. 중국 


제3장 정치변동에 따른 리비아의 경제협력환경 변화 
1. 정치변동 
가. 동향 
나. 주요 불안요인 
2. 경제정책의 변화 
가. 경제동향 및 특징 
나. 기본 경제정책 방향 
다. 정치변동 이후 경제정책의 변화 
3. 주요국의 대응 
가. 미국 
나. 프랑스 
다. 일본 
라. 중국 


제4장 정치변동에 따른 이집트의 경제협력환경 변화 
1. 정치변동 
가. 동향 
나. 주요 불안요인 
2. 경제정책 변화 
가. 경제동향 
나. 기본 경제정책 방향 
다. 정치변동 이후 경제정책의 변화 
3. 주요국의 대응 
가. 미국 
나. 프랑스 
다. 일본 
라. 중국 


제5장 우리나라와의 협력 평가 및 유망 분야 
1. 사우디아라비아 
가. 상품교역부문 
나. 투자 
다. 개발협력 
라. 소결 
2. 리비아 
가. 상품교역부문 
나. 투자 
다. 개발협력 
라. 소결 
3. 이집트 
가. 상품교역부문 
나. 투자  
다. 개발협력 
라. 소결 


제6장 결론: 정세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협력방안 
1. 대사우디아라비아 협력 
가. 협력환경 진단 
나. 경제협력 확대방안 
2. 대리비아 협력 
가. 협력환경 진단 
나. 경제협력 확대방안 
3. 대이집트 협력 
가. 협력환경 진단 
나. 경제협력 확대방안 
4. 대중동 협력 
가. 협력환경 진단 
나. 경제협력 확대방안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46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영-미 사례를 통한 미중 패권 전환 가능성 분석: 무역, 금융, 안보, 다자주의를 중심으로 2023-12-29 Working paper Individualism and Political Stability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남아·대양주 유권자들의 보호무역주의 성향 연구와 시사점: 필리핀, 태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2023-11-1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